반응형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집권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결정되는 것이죠.
현재의 야당이 집권하는 10년 동안은 참여정부에서 기획했던 공급정책과 대내외 경제상황에 따른 집값하락과 안정이 가능했었습니다.
택지와 주택 공급이 늘어 가격이 안정되니 박근혜 정부에서는 택지개발을 잠정 중단했던 것이구요.
경제 침체에 따른 경기 부흥책으로 금리 인하 정책에 따른 유동성 증가와 주택 투자가 성행하며 주택가격이 상승하게 되었고, 박근혜 정부에서도 규제책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현 문재인 정부는 서울과 수도권 내 재건축과 재개발의 공급이 없이 시장의 상황에 따른 즉각적인 규제책의 남발이 있었고, 임차인을 보호하는 법안의 실시 영향으로 전세가와 함께 집값이 동반 상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YouTube에서 '[잘못된 부동산 상식 이론 바로잡기] 정권이 바뀌면 규제가 풀어진다/ 규제풀리면 양도세중과없이 팔수있다/언젠가는 규제가 풀린다' 보기
https://youtu.be/uB5_ebxkvKE
반응형